김천시 구성면 상거1리 리도 204호 도로선형 개량공사
본문
김천시 구성면 상거1리 리도 204호 도로선형 개량공사를 25년 7월달에 시작하였습니다만 처음부터 엄청난 난관이 발생하였습니다.
바로 연암이 나온것인데요! 2-3일 생각했던 터파기 작업이 10일이상으로 늘어나면서 공사일정 조정이 불가피 해진 현장이였습니다.
1. 터파기 (Excavation)란 무엇인가요?
'터파기'는 건축이나 토목 공사에서 구조물을 세우거나 도로를 놓기 위해 지반을 일정한 깊이와 형태로 굴착하는 작업을 총칭합니다. 건물의 기초나 지하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땅을 파내거나, 도로의 선형을 만들기 위해 지반을 깎아내는 작업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2. 연암 (軟岩, Soft Rock)이란 무엇인가요?
'연암'은 단단한 암석과 무른 토사(흙)의 중간 정도 경도를 가진 지층을 의미합니다. 지질학적으로 분류할 때 보통암(보통 암석)보다 무르고 풍화암(풍화된 암석)보다는 단단한 상태의 암석을 연암이라고 부르곤 합니다. 즉, 맨흙처럼 삽으로 쉽게 파낼 수는 없지만, 아주 단단한 바위(경암이나 극경암)처럼 다이나마이트 같은 폭약까지 쓰지 않아도 기계로 파쇄가 가능한 정도의 암반을 말합니다.
3. 식생옹블록 작업(시공) 과정
일반적인 식생옹블록 시공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초 확인 및 터파기 : 블록이 놓일 위치와 지반의 상태를 확인하고, 설계에 맞춰 터파기 작업을 진행합니다.
2. 기초 지반 다지기 : 터파기 후 기초 지반을 단단히 다져 블록의 침하를 방지합니다. 필요한 경우 조약돌 등을 깔아 배수층을 확보하기도 합니다.
3. 규준실 설치 : 블록을 정확한 선형과 높이로 쌓기 위해 규준실(가이드라인)을 설치합니다.
4, 제1단 블록 설치 : 가장 아래단의 블록을 평평하게 설치합니다. 이때 블록과 블록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필요시 토목용 배수 필터(부직포 등)를 사용해 토사 유실을 막습니다 .
5. 연결 철근 또는 볼트 설치 : 블록의 안정성과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철근이나 연결 볼트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견고하게 연결합니다 .
6. 뒷채움 및 다짐 : 설치된 블록의 뒷부분에 토사를 채우고 충분히 다져 블록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합니다. 이 과정에서 배수층을 고려하여 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반복 작업: 위 4~6단계를 반복하여 필요한 높이만큼 블록을 쌓아 올립니다.
8. 식재 및 마무리 : 블록 내부에 흙을 채우고 잔디 씨앗을 뿌리거나 묘목을 심어 녹화를 진행합니다.
주의사항 및 고려사항
1. 블록 틈새 처리 : 블록과 블록 사이에 틈이 생길 경우 토사 유실 방지를 위해 토목용 배수 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배수 처리 : 블록 내부와 뒷채움 흙에 적절한 배수 시설을 두어 물 고임을 방지해야 합니다.
3. 식생의 수직 성장 및 보습성 : 식생옹벽의 단점으로는 식생의 수직 성장이 어려워 생존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전면 블록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보습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합니다 . 따라서 식물의 선택과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4. 대형 블록 활용 : 지오그리드 설치가 어려운 절토구간 등에서는 M800과 같은 대형 식생축조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하기도 합니다 .
무더운 여름 여러가지 난관이 있었지만 무사히 공사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함께 작업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천 #건설업체 #덤프트럭 #마사토 #굴착기 #매립토 #토목공사 #전문업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